1. Function Component & Class Component

 

// 함수형 컴포넌트
function Welcome(props) {
  return <h1>Hello, {props.name}</h1>;
}

이 함수는 데이터를 가진 하나의 “props” (props는 속성을 나타내는 데이터) 객체 인자를 받은 후 React 엘리먼트를 반환한다.

 

// 클래스형 컴포넌트
class Welcome extends React.Component {
  render() {
    return <h1>Hello, {this.props.name}</h1>;
  }
}

ES6 Class를 사용해 컴포넌트를 정의하면 된다.

 

- 함수형에서 클래스형 컴포넌트로 바꾸기

  1. React.Component를 확장하는 동일한 이름의 ES6 class를 생성합니다.

  2. render()라고 불리는 빈 메서드를 추가합니다.

  3. 함수의 내용을 render() 메서드 안으로 옮깁니다.

  4. render() 내용 안에 있는 props를 this.props로 변경합니다.

 

 

※ 주의

사용자 정의 컴포넌트는 반드시 대문자로 시작해야 한다.

Element가 소문자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div>  <span> 같은 내장 컴포넌트라는 것을 뜻하며 'div'  'span' 같은 문자열 형태로 React.createElement에 전달된다. <Foo />와 같이 대문자로 시작하는 타입들은 React.createElement(Foo)의 형태로 컴파일되며 JavaScript 파일 내에 사용자가 정의했거나 import 한 컴포넌트를 가리킨다고 한다.

 

 

 

2. Props

props는 읽기 전용이다.

함수 컴포넌트나 클래스 컴포넌트 모두 컴포넌트의 자체 props를 수정해서는 안된다.

 

App.js
// APP.js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import Subject from './components/Subject'; //컴포넌트 import
import Content from './components/Content'; //컴포넌트 import


class App extends Component {
  render() {
    return (
      <div className="App">
        <Subject title="WEB" sub="Wold Wide Web!" /> // props 전달
        리액트 공부하기!
        <Content title="HTML" desc="HTML is ..." /> // props 전달
      </div>
    );
  }
}

export default App;

 

하위 컴포넌트에 전달할 데이터를 props로 전달한다. 여기선 <Subject>, <Content> 각 컴포넌트에 porps를 전달해줬다.

 

 

Subject.js
// Subject.js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export default class Subject extends Component {
  render() {
    console.log('Subject render!');
    return (
      <header>
        <h1>{this.props.title}</h1> // 전달받은 props를 사용해 렌더링한다.
        {this.props.sub}
      </header>
    )
  }
}

 

Content.js
// Content.js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export default class Content extends Component {
  render() {
    return (
      <article>
        <h2>{this.props.title}</h2> // 전달받은 props를 사용해 렌더링한다.
        {this.props.desc}
      </article>
    )
  }
}

 

전달받은 props를 사용할 때는 현재 Class를 가리키는 this를 사용한다.

this.props.(전달받은 props 명) 형식으로 중괄호와 함께 사용해주면 받은 데이터를 렌더링 할 수 있게 된다.

 

 

 

- 결과 화면

<결과 화면>

반응형

 

 

1992번: 쿼드트리

첫째 줄에는 영상의 크기를 나타내는 숫자 N 이 주어진다. N 은 언제나 2의 제곱수로 주어지며, 1≤N ≤64의 범위를 가진다. 두 번째 줄부터는 길이 N 의 문자열이 N 개 들어온다. 각 문자열은 0 또는

www.acmicpc.net

 

 

<내 코드>

 

n = int(input())
video = [list(input()) for _ in range(n)]


def divide(x, y, n):
    ans = []
    check = True
    color = video[x][y]

    for i in range(x, x+n):
        if not check:
            break
        for j in range(y, y+n):
            if color != video[i][j]:
                check = False
                ans.append("(")
                ans.extend(divide(x, y, n//2))
                ans.extend(divide(x, y+n//2, n//2))
                ans.extend(divide(x+n//2, y, n//2))
                ans.extend(divide(x+n//2, y+n//2, n//2))
                ans.append(")")
                return ans
    return color


print("".join(divide(0, 0, n)))

 

list.append와 list.extend의 차이에 대해 알게 됐다.

a = [1, 2, 3]
b = [4, 5, 6]

a.append(b)
print(a) # [1, 2, 3, [4, 5, 6]]

a = [1, 2, 3]
b = [4, 5, 6]

a.extend(b)
print(a) # [1, 2, 3, 4, 5, 6]

append는 해당 리스트(b) 그 자체를 리스트(a) 끝에 넣어준다. 반면에 extend는 해당 리스트(b) 안의 요소들을 (a)리스트 끝에 넣어 확장시켜준다.

반응형

 

 

2630번: 색종이 만들기

첫째 줄에는 전체 종이의 한 변의 길이 N이 주어져 있다. N은 2, 4, 8, 16, 32, 64, 128 중 하나이다. 색종이의 각 가로줄의 정사각형칸들의 색이 윗줄부터 차례로 둘째 줄부터 마지막 줄까지 주어진다.

www.acmicpc.net

 

 

<내 코드>

 

N = int(input())
paper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white, blue = 0, 0


def divide(x, y, n):
    global white, blue
    color = paper[x][y]
    check = True

    for i in range(x, x+n):
        if not check:
            break

        for j in range(y, y+n):
            if color != paper[i][j]:
                check = False
                divide(x, y, n//2)  # 1사분면
                divide(x, y+n//2, n//2)  # 2사분면
                divide(x+n//2, y, n//2)  # 3사분면
                divide(x+n//2, y+n//2, n//2)  # 4사분면
                break
    if check:
        if color:
            blue += 1
        else:
            white += 1


divide(0, 0, N)
print(white)
print(blue)

 

이 문제는 처음 접하는 개념인 '쿼드트리'를 만드는 것이었다. 트리의 자식노드가 4개씩 분할하는 방법이라고 한다.

여기서 분할 된 영역 안에서 같은 색인지 판단해 다르다면 또 다시 나누면서 찾아간다. 일반 동적 계획법과 다르게 분할 정복은 중복되는 하위 문제가 없다는 것이 차이다.

반응형

Hooks는 리액트 v16.8에 새로 도입된 기능으로서,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도 상태 관리를 할 수 있는 useState, 그리고 렌더링 직후 작업을 설정하는 useEffect 등의 기능 등을 제공하여 기존의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할 수 없었던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게 해 준다. Hook은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React의 특징을 갖게 해주는 함수다.

 

- Hook 사용 규칙

  • 최상위(at the top level)에서만 Hook을 호출해야 한다. 반복문, 조건문, 중첩된 함수 내에서 Hook을 실행하지 말아야한다.
  • React 함수 컴포넌트 내에서만 Hook을 호출해야 한다. 일반 JavaScript 함수에서는 Hook을 호출해서는 안 됩니다. (Hook을 호출할 수 있는 곳이 딱 한 군데 더 있다. 바로 직접 작성한 custom Hook 내이다.)

 

1. useState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function Example() {
  // "count"라는 새 상태 변수를 선언합니다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return (
    <div>
      <p>You clicked {count} times</p>
      <button onClick={() => setCount(count + 1)}>
        Click me
      </button>
    </div>
  );
}

- 형태

const [value, setValue] = useState(0); // [현재 state, 업데이트 함수]와 state 초기값
function ExampleWithManyStates() {
  // 상태 변수를 여러 개 선언했습니다!
  const [age, setAge] = useState(42);
  const [fruit, setFruit] = useState('banana');
  const [todos, setTodos] = useState([{ text: 'Learn Hooks' }]);
  // ...
}

 

현재의 state값이 값을 업데이트하는 함수배열 할당 형태로 사용한다. 이 함수를 이벤트 핸들러나 다른 곳에서 호출해 사용 가능하다. state 초기값을 첫 번째 렌더링에만 딱 한번 사용된다.

 

 

2. useEffect

// React가 DOM을 업데이트한 뒤에 문서의 타이틀을 바꾸는 컴포넌트
import Reac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function Example()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 componentDidMount, componentDidUpdate와 비슷합니다
  useEffect(() => {
    // 브라우저 API를 이용해 문서의 타이틀을 업데이트합니다
    document.title = `You clicked ${count} times`;
  });

  return (
    <div>
      <p>You clicked {count} times</p>
      <button onClick={() => setCount(count + 1)}>
        Click me
      </button>
    </div>
  );
}

 

useEffect는 리액트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때마다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Hook이다. React class의 componentDidMount  componentDidUpdate, componentWillUnmount와 같은 목적으로 제공되지만, 하나의 API로 통합된 것이다.

 

 

2-1. useEffect의 두 번째 인수 사용

 

- 특정 값을 넣어주는 경우

 

useEffect(() => {
  document.title = `You clicked ${count} times`;
}, [count]); // count가 바뀔 때만 effect를 재실행합니다.

2번째 인자로 배열이 주어지는데, 배열 안 값이 리렌더링 시에 변경되지 않는다면 리액트는 effect를 건너뛴다. 즉 안의 값이 변할 때만 리렌더링을 한다. 배열 내에 여러 개의 값이 있다면 그중의 단 하나만 다를지라도 리액트는 effect를 재실행합니다.

 

 

- 빈 배열을 인자로 줄 경우

 

  useEffect(() => {
    console.log('마운트 될 때만 실행됩니다.');
  }, []);

빈 배열([])을 넘기게 되면, effect 안의 prop과 state는 초깃값을 유지하게 된다. 즉, 화면에 가장 처음 렌더링 될 때만 실행되고 업데이트할 경우에는 실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빈 배열을 설정해준다. effect를 실행하고 이를 정리(clean-up)하는 과정을 (마운트와 마운트 해제 시에) 딱 한 번씩만 실행하고 싶다면, 빈 배열([])을 두 번째 인수로 넘기면 된다. 

 

useEffect(<function>, <Array>) 

  • <Array> == 생략 : 첫 렌더링 + state 변화에 따른 모든 렌더링 시에 동작한다.

  • <Array> == [ ] : 첫 렌더링 시에만 동작한다. componentDidMount()와 같다.

  • <Array> == [state] : 첫 렌더링 시 동작하고, 배열 안에 넣어준 값의 상태가 변할 때마다 계속 동작한다. componentDidMount() & componentDidUpdate()

  • Clean up : return으로 함수를 지정해주면 clean up작업을 한다. componentWillUnMount()와 같은 동작이다. 즉, 컴포넌트가 수명을 다하고 사라질 때 어떤 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2-2. 정리(Clean-up)를 이용하는 Effects

 useEffect(() => {
    console.log('effect');
    console.log(name);
    
    // effect 이후에 어떻게 정리(clean-up)할 것인지 표시
    return () => {
      console.log('cleanup');
      console.log(name);
    };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