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기초 문법 - 변수 , 연산자, 타입
1. 변수
변수는 var, let, const로 선언할 수 있다.
어떤 것을 사용하는가에 의해서 scope, 즉 변수의 유효 범위가 달라진다. 변수에 무조건 하나의 값만 넣을 수 있다.
var a = 1;
var b = '안녕';
var a = "aaa";
var a = 'aaa';
var a = true;
var a = [];
var a = {};
var a = undefined;
2. 연산자
기본적으로 모든 언어에서 사용되는 연산자랑 동일하게 사용된다. 연산자 우선순위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를 사용하면 된다. 수학연산자는 +,-,*,/,%(나머지) 등이 있다. 그리고 논리 연산자, 관계 연산자, 삼항 연산자도 있다.
// OR 연산자
const name = "kim";
const result = name || "exam";
console.log(result);
// "kim" 출력
var name = "";
var result = name || "exam";
console.log(result);
// "exam" 출력
삼항 연산자
간단한 비교나 조건이 있을 때 값 할당에 사용한다. ?앞의 조건식의 결과가 참이면 콜론(:) 앞의 값을 선택하고, 거짓이면 콜론 뒤의 값을 선택한다.
const data = 11;
const result = (data > 10) ? "True" : "fail";
console.log(result);
// "True" 출력
비교 연산자
좌항과 우항의 값을 비교할 때 사용하며, 비교에서는 == 보다는 ===는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을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할 경우 여러 가지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는 타입은 달라도 값이 같으면 참으로 간주하고, ===는 값과 타입 모두 같아야만 참으로 간주하는 것이 큰 차이다.
0 == "0"; // 참
0 === "0" // 거짓
"0" === "0" // 참
"0" == 0 // 참
3. 타입
자바스크립트에서 타입은 여러 가지가 존재한다. undefined, null, boolean, number, string, object, function, array, Date, RegExp 와 같이 많은 타입이 존재한다. 타입은 선언할 때가 아니고, 실행타임에 결정된다. 함수 안에서의 파라미터나 변수는 실행될 때 그 타입이 결정된다.
타입을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문자, 숫자와 같은 자바스크립트 기본 타입은 'typeof' 키워드를 사용해서 체크할 수 있다. 배열은 타입을 체크하는 isArray함수가 표준으로 생겼다.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Numbers API를 이용한 프로젝트 - AJAX, Fetch (0) | 2020.08.10 |
---|---|
[JavaScript] AJAX 란 무엇인가? (0) | 2020.07.17 |
[JavaScript] Event - addEventListener, 이벤트 객체 (0) | 2020.05.14 |
[JavaScript] JSON - JSON.parse(), JSON.stringify() (0) | 2020.05.13 |
[JavaScript] 함수 (0) | 2020.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