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725번: 트리의 부모 찾기

루트 없는 트리가 주어진다. 이때, 트리의 루트를 1이라고 정했을 때, 각 노드의 부모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내 코드>

 

import sys
sys.setrecursionlimit(100000) #런타임 에러 방지

n = int(input())
tree = [[] for _ in range(n+1)]

# 양방향으로 노드를 연결하고
for _ in range(n-1):  # 노드의 수 - 1 (간선)
    a, b = map(int, input().split())
    tree[a].append(b)
    tree[b].append(a)

# 각 노드의 부모 노드 값 저장용
parents = [0 for _ in range(n+1)]
parents[1] = 1


def dfs(curr, tree, parents):
    # print(parents)
    for node in tree[curr]:
        if parents[node] == 0:
            parents[node] = curr  # 해당 자식 노드에 부모노드(curr) 값 넣음
            dfs(node, tree, parents)  # 자식 노드가 서브 트리 루트로서 탐색


dfs(1, tree, parents)

print(*parents[2:])

 

반응형

 

 

1991번: 트리 순회

첫째 줄에는 이진 트리의 노드의 개수 N(1≤N≤26)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 각 노드와 그의 왼쪽 자식 노드, 오른쪽 자식 노드가 주어진다. 노드의 이름은 A부터 차례대로 영문자

www.acmicpc.net

<내 코드>

def preorder(node):
    if node == '.':
        return
    print(node, end="")
    preorder(tree[node][0])  # tree[key][value], 왼쪽 자식 노드
    preorder(tree[node][1])  # 오른쪽 자식 노드


def inorder(node):
    if node == '.':
        return
    inorder(tree[node][0])  # 왼쪽 자식 노드
    print(node, end="")
    inorder(tree[node][1])  # 오른쪽 자식 노드


def postorder(node):
    if node == '.':
        return
    postorder(tree[node][0])  # 왼쪽 자식 노드
    postorder(tree[node][1])  # 오른쪽 자식 노드
    print(node, end="")


n = int(input())
tree = {}

# tree 생성
for _ in range(n):
    root, left, right = input().split()
    tree[root] = (left, right)

#print(tree)
preorder('A')
print()
inorder('A')
print()
postorder('A')

 

딕셔너리를 이용해 트리를 만들어준다. 그다음 각 순회 방식에 맞게 재귀를 이용해 함수를 작성해준다.

 

# tree
{
  'A': ('B', 'C'), 
  'B': ('D', '.'), 
  'C': ('E', 'F'), 
  'E': ('.', '.'), 
  'F': ('.', 'G'), 
  'D': ('.', '.'), 
  'G': ('.', '.')
}
반응형

 

 

2798번: 블랙잭

첫째 줄에 카드의 개수 N(3 ≤ N ≤ 100)과 M(10 ≤ M ≤ 3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카드에 쓰여 있는 수가 주어지며, 이 값은 100,000을 넘지 않는다. 합이 M을 넘지 않는 카드 3장을 찾을 수 있�

www.acmicpc.net

 

 

<내 코드>

 

N, M = map(int, input().split())
nums = list(map(int, input().split()))
sum = 0
for i in range(N-2):
    for j in range(i+1, N-1):
        for k in range(j+1, N):
            if ((nums[i] + nums[j] + nums[k]) > M):
                continue
            else:
                sum = max(sum, nums[i] + nums[j] + nums[k])
print(sum)

 

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

N, M = map(int, input().split())
nums = list(map(int, input().split()))
result = 0

for cards in combinations(nums, 3):
    sum_num = sum(cards)

    if sum_num <= M and sum_num > result:
        result = sum_num

print(result)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순열 조합을 구하는 모듈인 combinations을 이용해 모든 경우를 구한다.

combinations(리스트, 몇 개씩 조합할지) 정해주면 된다.

반응형

1. type이 sk인, name으로 구성된 배열만 출력

 

data =
  [{
    "id": 1,
    "name": "Yong",
    "phone": "010-0000-0000",
    "type": "sk",
    "childnode": [{
      "id": 11,
      "name": "echo",
      "phone": "010-0000-1111",
      "type": "kt",
      "childnode": [{
        "id": 115,
        "name": "hary",
        "phone": "211-1111-0000",
        "type": "sk",
        "childnode": [{
          "id": 1159,
          "name": "pobi",
          "phone": "010-444-000",
          "type": "kt",
          "childnode": [{
            "id": 11592,
            "name": "cherry",
            "phone": "111-222-0000",
            "type": "lg",
            "childnode": []
          },
          {
            "id": 11595,
            "name": "solvin",
            "phone": "010-000-3333",
            "type": "sk",
            "childnode": []
          }
          ]
        }]
      },
      {
        "id": 116,
        "name": "kim",
        "phone": "444-111-0200",
        "type": "kt",
        "childnode": [{
          "id": 1168,
          "name": "hani",
          "phone": "010-222-0000",
          "type": "sk",
          "childnode": [{
            "id": 11689,
            "name": "ho",
            "phone": "010-000-0000",
            "type": "kt",
            "childnode": [{
              "id": 116890,
              "name": "wonsuk",
              "phone": "010-000-0000",
              "type": "kt",
              "childnode": []
            },
            {
              "id": 1168901,
              "name": "chulsu",
              "phone": "010-0000-0000",
              "type": "sk",
              "childnode": []
            }
            ]
          }]
        }]
      },
      {
        "id": 117,
        "name": "hong",
        "phone": "010-0000-0000",
        "type": "lg",
        "childnode": []
      }
      ]
    }]
  }]
let arr = [];
function parsing(data) {
  data.forEach(k => {
    if (k.type === 'sk') {
      arr.push(k.name);
    }
    if (k.childnode.length > 0) {
      parsing(k.childnode);
    }
  });
}

parsing(data);
console.log(arr);
// 출력
[ 'Yong', 'hary', 'solvin', 'hani', 'chulsu' ]

 

 

2. 숫자 타입으로만 구성된 요소를 뽑아 배열로 만들기

 

const data = {
  "debug": "on",
  "window": {
    "title": "Sample Konfabulator Widget",
    "name": "main_window",
    "width": 500,
    "height": 500
  },
  "image": {
    "src": "Images/Sun.png",
    "name": "sun1",
    "hOffset": 250,
    "vOffset": 250,
    "alignment": "center"
  },
  "text": {
    "data": "Click Here",
    "size": 36,
    "style": "bold",
    "name": "text1",
    "hOffset": 250,
    "vOffset": 100,
    "alignment": "center",
    "onMouseUp": "sun1.opacity = (sun1.opacity / 100) * 90;"
  }
};

let arr = [];
function parsing(data) {
  for (item in data) {
    if (typeof (data[item]) === 'object') {
      parsing(data[item]);
    }
    else if (typeof (data[item]) === 'number') {
      arr.push(item);
    }

  };
}
parsing(data);
console.log(arr)
// 출력 
["width", "height", "hOffset", "vOffset", "size", "hOffset", "vOffset"]
반응형

 

 

13458번: 시험 감독

첫째 줄에 시험장의 개수 N(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각 시험장에 있는 응시자의 수 Ai (1 ≤ Ai ≤ 1,000,000)가 주어진다. 셋째 줄에는 B와 C가 주어진다. (1 ≤ B, C ≤ 1,000,000)

www.acmicpc.net

 

<내 코드>

 

N = int(input())
nums = list(map(int, input().split()))
B, C = map(int, input().split())
result = 0

nums = [nums[i]-B for i in range(N)]
result += N

for n in nums:
    if n > 0:
        result += (n // C)
        if n % C != 0:
            result += 1


print(result)
반응형

 

 

14503번: 로봇 청소기

로봇 청소기가 주어졌을 때, 청소하는 영역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로봇 청소기가 있는 장소는 N×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1×1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

www.acmicpc.net

 

<내 코드>

 

import collections

# 북, 동, 남, 서
dx = [-1, 0, 1, 0]
dy = [0, 1, 0, -1]


def change(d):
    if d == 0:  # 북 -> 서
        return 3
    elif d == 1:  # 동 -> 북
        return 0
    elif d == 2:  # 남 -> 동
        return 1
    elif d == 3:  # 서 -> 동
        return 2


def search(x, y, d):
    cnt = 1
    q = collections.deque([[x, y, d]])
    route[x][y] = 2

    while q:
        x, y, d = q.popleft()
        nd = d

        for i in range(4):
            # 왼쪽 영역 탐색
            nd = change(nd)
            nx = x + dx[nd]
            ny = y + dy[nd]

            # a
            if 0 <= nx < N and 0 <= ny < M and route[nx][ny] == 0:
                cnt += 1
                route[nx][ny] = 2
                q.append([nx, ny, nd])
                break
            # c
            elif i == 3:

                if d == 0:
                    x += 1
                elif d == 1:
                    y -= 1
                elif d == 2:
                    x -= 1
                elif d == 3:
                    y += 1
                q.append([x, y, d])
                # d
                if route[x][y] == 1:
                    return cnt


N, M = map(int, input().split())
r, c, d = map(int, input().split())

route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print(search(r, c, d))

 

  • 방향을 북, 동, 남, 서 방향으로 바꿔줘야 한다

  • 벽인지, 빈칸인지를 잘 구별해주어야 한다

  • 후진을 할 방향을 잘 선택해주면 된다

 

 

반응형

 

 

14502번: 연구소

인체에 치명적인 바이러스를 연구하던 연구소에서 바이러스가 유출되었다. 다행히 바이러스는 아직 퍼지지 않았고,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 연구소에 벽을 세우려고 한다. 연구소는 크�

www.acmicpc.net

 

 

<내 코드>

 

import copy

dx = [-1, 1, 0, 0]
dy = [0, 0, -1, 1]

answer = 0

def bfs():
    global answer
    v = copy.deepcopy(virus)  # 원본 유지한채 복사(바이러스 좌표값)
    tmp = [[0]*M for _ in range(N)]
    # 지도 복사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tmp[i][j] = maps[i][j]

    # 4방향 탐색 후 바이러스 감염
    while len(v) != 0:
        vir = v.pop()
        vir_x = vir[0]
        vir_y = vir[1]

        for k in range(4):
            nx = vir_x + dx[k]
            ny = vir_y + dy[k]
            if 0 <= nx < N and 0 <= ny < M:
                if tmp[nx][ny] == 0:
                    tmp[nx][ny] = 2
                    v.append([nx, ny])
    # 0(안전구역) 갯수 파악
    result = 0
    for i in tmp:
        for j in i:
            if j == 0:
                result += 1

    answer = max(result, answer)

# 벽 3개를 세우는 모든 경우의 수
def wall(cnt):
    if cnt == 3:
        bfs()
        return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if maps[i][j] == 0:
                maps[i][j] = 1
                wall(cnt+1)
                maps[i][j] = 0
                
N, M = map(int, input().split())
maps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virus = []

# 바이러스 좌표값 저장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if maps[i][j] == 2:
            virus.append([i, j])
wall(0)
print(answer)

 

벽 3개를 세우는 방법을 알지 못해 다른 사람들의 코드를 참고했다. 여기서 입력의 크기가 크지 않기 때문에 브루트포스를 사용해 벽3개를 세우는 경우의 수를 다 구했다.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하는 코드를 이해하는데 쉽지 않았다..

앞으로 자주 사용될 것 같다.

반응형

 

 

14499번: 주사위 굴리기

첫째 줄에 지도의 세로 크기 N, 가로 크기 M (1 ≤ N, M ≤ 20),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 x y(0 ≤ x ≤ N-1, 0 ≤ y ≤ M-1), 그리고 명령의 개수 K (1 ≤ K ≤ 1,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지도

www.acmicpc.net

 

<내 코드>

 

N, M, x, y, K = map(int, input().split())
maps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op = list(map(int, input().split()))
dice = [0]*7

# 항상 주사위 6번면이 위에 오도록 설정
def move(op):
    if op == 1:
        dice[1], dice[3], dice[4], dice[6] = dice[3], dice[6], dice[1], dice[4]
    elif op == 2:
        dice[1], dice[3], dice[4], dice[6] = dice[4], dice[1], dice[6], dice[3]
    elif op == 3:
        dice[1], dice[2], dice[5], dice[6] = dice[2], dice[6], dice[1], dice[5]
    elif op == 4:
        dice[1], dice[2], dice[5], dice[6] = dice[5], dice[1], dice[6], dice[2]

# 명령에 따라 지도에서 주사위 이동
def direction(op):
    if op == 1:
        return (0, 1)
    elif op == 2:
        return (0, -1)
    elif op == 3:
        return (-1, 0)
    elif op == 4:
        return (1, 0)


for i in op:
    row, col = direction(i)

    if 0 <= x+row < N and 0 <= y+col < M:
        x += row
        y += col
        move(i)
		# 해당 지도 좌표의 값이 0인지 판단
        if maps[x][y] != 0:
            # 바닥면이 지도의 값이 된다
            dice[1] = maps[x][y]
            maps[x][y] = 0
        else:
            # 지도의 값이 주사위 바닥면 값이 된다
            maps[x][y] = dice[1]
        print(dice[6])

 

특별한 알고리즘이 필요없는 문제다. 구현, 시뮬레이션 문제인데 이런 유형을 많이 풀어보지 않아 쉽지 않았다.

주사위 6번 면이 항상 위로 오도록 규칙을 정해 문제를 그대로 구현하면 되는 문제였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