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기초 문법 - 자료형 

 

1. 숫자 자료형

 

파이썬의 숫자 자료형은 '정수, 실수형, 2진수, 8진수, 16진수'로 표현할 수 있다.

'''
        정수           : -10, 0, 10
        실수형         : -1.1, 10.123
        2진수(binary)  : 0b10, 0B10
        8진수(octal)   : 0o10, 0O10
        16진수(hexadecimal) : 0x10, 0X10
'''

아래에 간단한 예제를 보자.

print("[기본 숫자형]")
print("정수 :", 10, -10, 0)
print("실수 :", -1.1, 10.123)
# print() 함수는 숫자를 10진수로 출력
print("2진수 :", 0b100, 0B100)
print("8진수 :", 0o10, 0O10)
print("16진수 :", 0x10, 0X10)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수 : 10 -10 0
실수 : -1.1 10.123
2진수 : 4 4
8진수 : 8 8
16진수 : 16 16

 

 

2. 문자열

 

파이썬에서 문자열을 만드는 방법은 4가지가 있다.

  • 1. 큰 따옴표 1개

  • 2. 작은따옴표 1개

  • 3. 큰 따옴표 3개

  • 4. 작은 따옴표 3개

print("1. happy day")
print('2. happy day')
print("""3. happy day""")
print('''4. happy day''')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happy day
2. happy day
3. happy day
4. happy day

만약 여러 줄의 문자열을 출력하고 싶다면 따옴표 3개짜리를 이용하면 된다.

print("""안녕하세요
파이썬입니다.""")

hello = '''반가워요
파이썬!'''
print(hello)

문자열을 사용하고 출력할 때 사용되는 '이스케이프 문자'가 있는데, 이스케이프 문자는 문자열 안에서 특수한 기능을 가지는 문자들을 말한다. 이스케이프 문자는 역슬래시(\)로 시작해 사용한다. 아래에 여러 이스케이프 문자들이 있다.

'''
	\n : 개행(줄바꿈)
	\t : tab키를 누른 만큼 간격 띄우기
	\\ : \ 하나를 문자로 사용
	\' : ' 하나를 문자로 사용
	\" : " 하나를 문자로 사용
'''

 

 

문자열 연산하기

문자열을 연산할 때 주의할 것이 문자열끼리만 연산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정수와 문자열 사이의 연산을 하게 되면 오류가 발생한다. 그러니 이 점을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문자열 연산은 2가지 경우가 있다.

#1. + : 연결
print("안녕" + "하세요")
str1 = "안녕"
str2 = "하세요"
print(str1 + str2)

#2. * : 반복
print("안녕" * 5)
str3 = "곱셈" * 3 # 연산 결과를 만든 후 변수에 대입
print(str3)

 

 

문자열 인덱싱(Indexing)

인덱싱(Indexing)이란 index 색인, '무언가를 가리킨다'는 것으로, 문자열에서 특정 글자를 뽑아내어 사용하는 것이다. 특정 글자를 찾을 때, '순서'를 사용하는데 이 때 인덱스 번호를 이용한다. 프로그래밍에서 순서는 0부터 시작을 하며 음수일 경우 뒤에서부터 순서를 세는 방식이다.

 

 

문자열 슬라이싱

문자열 슬라이싱은 문자열은 원하는 길이만큼 조각내는 것이다. 인덱스로 특정 범위의 문자를 조각내서 사용한다. 아래처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a[0:3] --> 콜론(:)으로 범위 지정

a[시작 인덱스:끝 인덱스] --> 끝 인덱스는 포함 X

a[시작 인덱스:] --> '시작 인덱스'부터 '끝'까지

a[:끝 인덱스] --> '처음'부터 '끝 인덱스'까지 (끝 인덱스는 포함 X)

a[:] --> 시작부터 끝 --> 전체

 

 

문자열 기본 포매팅

 

문자열 포매팅은 문자열 안에 '값'을 '삽입'하는 방법이다. 포매팅 코드(서식문자)는 4가지가 있다.

%s - 문자열 (String)
%c - 문자 1개
%d - 정수
%f - 실수
%% - % 하나를 문자로 삽입

서식 문자를 사용한 문자열 포매팅 예제들입니다.

# 문자열 뒤에 바로 % 기호를 붙여서 값을 입력
print("정수 : %d" % 20)
my_str = "정수 : %d" % 30
print(my_str)
print("실수 : %f" % 10.1)
print("문자열 : %s" % "나는 문자열")

print("정수 : %d" % 10.123) # 실수 값을 정수로 삽입(소수점은 없어짐)
print("실수 : %f" % 30) # 정수 값을 실수로 삽입(없던 소수점 생김)

print("문자열 : %s" % 10) # %s는 전부 문자 취급
print("문자열 : %s" % 10.123)
#결과
정수 : 20
정수 : 30
실수 : 10.100000
문자열 : 나는 문자열
정수 : 10
실수 : 30.000000
문자열 : 10
문자열 : 10.123

다음으로 포맷 코드 대신 format() 함수를 이용한 문자열 포매팅 방법입니다.

my_str = "제 이름은 {}입니다.".format("홍길동") # 만든 문자열을 변수에 대입
print(my_str)

name = "홍길동"
age = 20
print("제 이름은 {}이고, {}살 입니다.".format(name, age))

 

반응형

 C언어 기초 프로그래밍 문법 - 포인터

 

포인터

 

포인터는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변수. 즉 다른 값이 저장된 공간(변수)을 가리킨다. 일반적인 변수는 주소에 값을 저장하는 것이지만, 포인터 변수는 값이 저장된 주소를 저장하는 것이 차이다.

 

 

1. 포인터 형태

 

type * 포인터 변수명

- 포인터 변수의 type(자료형)은 가리킬 변수의 type과 일치해야 한다.

 → ‘주소 값은 정수이지만, 자료형별로 실제 크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 ‘주소 값의 범위는 4byte, 포인터 변수의 크기는 4byte로 고정되어 있다.

 

 

2. 주소를 다루는 방법

 

&연산자 (주소연산자)

scanf("%d", &iNum);

&연산자는

1) 변수의 주소 값을 반환한다. (연산의 결과가 주소 값)

2) 시작 주소를 가르쳐준다. (type의 크기에 맞게 알아서 공간사용)

 

3. 포인터를 다루는 방법

 

*연산자 (간접 참조 연산자)

int * pNum = NULL; // NULL은 초기화 값

NULL 은 정수 0이다. (포인터인 것을 명시하려고사용)

포인터에서 0은 주소 값이 ‘0이다라고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가리키는 공간이 없다고 해석한다.

 

4. 포인터를 사용하는 이유

 

첫 번째, 함수의 수행문에서 함수 외부의 변수에 접근가능하다.

두 번째, 동적 할당을 위해 사용한다. 동적 메모리 할당은 프로그래밍에서 실행 시간 동안 사용할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는 것을 말한다. 동적으로 할당된 메모리 공간은 프로그래머가 명시적으로 해제하기 전까지 계속 유지된다.

 

동적 할당

함수를 이용하여 '런타임' 도중 원하는 크기의 메모리 할당한다. malloc() 으로 동작 할당한 공간은 자동소멸이 되지 않는다.반드시 malloc()으로 할당된 공간은 사용을 다한 뒤, free()로 삭제해줘야 한다.

 런타임: 프로그램 실행 중
 malloc() : 메모리할당(공간을 만든다.)
 free()   : 할당된 메모리 해제(공간해제)

정적 할당

일반 변수나 배열( 코드에 공간의 크기 고정), 일반적으로 작성하던 방식이다. 기본적으로  자동으로 소멸된다.

 

 

배열과 포인터의 관계

 

배열에서 배열명은 첫 번째 요소의 주소(시작주소)를 의미한다. 즉 포인터처럼 주소값을 가리킨다. 2차원 배열에서 [ ][ ] 인덱스를 하나만 [ ] 사용하면 한 의 시작주소를 의미한다. 배열변수를 포인터변수에 저장하면 똑같이 다룰 수 있다. 배열과 포인터의 차이점은 크기’, ‘변수의 연산 여부이다.

 

예제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iValue = 0;
	int* pValue = &iValue;

	// pValue만 이용하여 코드 완성하기
	printf("숫자 입력 : ");
	scanf("%d", pValue);
	
	printf("입력한 값의 2제곱은 %d 입니다.\n", (*pValue) * (*pValue) );
}

 

반응형

 c언어 프로그래밍 기초 문법 

 

배열

 

배열은 ‘같은 타입’의 여러 공간을 하나의 변수로 ‘다루는 것’이며 만들어지는 공간은 ‘연속’된다. 배열을 선언(생성) 하기 위해서는 [ ](대괄호)를 사용한다. 대괄호 안에 배열의 크기를 정하는 정수 값을 넣는다. 그리고 배열에는 ‘인덱스(index)’를 이용해 각 요소에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인덱스는 간단하게 위치 또는 순서로 의미를 이해하면 된다. 참고로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인덱스는 1이 아닌 0부터 시작한다. 따라서 마지막 순서의 인덱스는 길이에서 1을 뺀 값이 된다. 아래에 배열을 생성하는 여러 가지 형태들을 보여준다.

 

// 배열생성
int iArr1[5]; // 배열생성, 각 공간(5개의정수)은 초기화 되지 않음 (쓰레기값)

int iArr2[5] = { 1, 2, 3, 4, 5 }; // 배열생성과 동시에 초기화(순서대로) 

int iArr3[5] = { 1, 2 }; // 뒤에 나머지 공간3개는 자동으로 0이 대입

int iArr4[5] = { 0, };  // 모든 공간을0대입

int iArr5[] = { 10, 20, 30, 40, 50 }; // 자동으로 길이가5가된다.

 

1. 문자열 배열

 

여기서 char는 1개 문자를 표현하는 자료형이다. char의 배열 형태는 ‘문자열’을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문자열의 끝에는 자동으로 ‘널 문자(\0)’가 삽입되어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널 문자는 정수 0을 의미하며 공백과는 다른 문자이다.(참고로 공백은 정수 32) 따라서 널 문자 때문에 배열 선언 시 원하는 문자열 길이보다 최소 1이상 여유 있게 선언해야 한다. 아래에 문자열 배열을 생성하는 여러 가지 형태들을 보여준다.

 

char szStr1[20] = "Hello"; // char 배열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할 때'문자열'사용가능

char szStr2[20] = { 'H', 'e', 'l', 'l', 'o', }; // szStr1과동일

char szStr3[20] = { 0, }; // 정수0은 널 문자

char szStr4[20]; // 초기화 하지 않은 문자 배열

char szStr[] = "Hello World"; // 길이가 자동으로 잡힌다.(11글자) 

 

2. 다차원 배열

 

다차원 배열은 2차원, 3차원 혹은 그 이상의 배열 형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int iArr[2][3] = {0, }은 2행 3열의 행렬 형태를 나타낸다. 아래에는 2차원 배열 생성 형태를 나타낸다.

 

// 2차원 배열 생성 시 초기값 넣기
int iArr[2][3] = { {1, 2, 3}, {4, 5, 6} };
int iArr[2][3] = { {1, 2, 3},
		{4, 5, 6} }; 

 

 

예제

#include <stdio.h>

void main()
{
	// 2차원 문자배열로 동물이름 입력 받기 
	char szArrAnimal[3][20] = { 0, }; // 20글자 문자열이 3개 
	int i = 0;
	int iArrLen = 0;

	//				20칸 * 3개 = 60byte / 1개 행의 크기 (20byte) --> 3 (행의개수) 
	iArrLen = sizeof(szArrAnimal) / sizeof(szArrAnimal[0]);
	//		1차원 : iArr[1] ---> 2번째 요소 
	//		2차원 : iArr[1][1] --> 1행, 1열 요소 1개 
	//		       iArr[1] --> 1행 전체 의미 

	printf("동물 이름 입력\n");
	for (i = 0; i < iArrLen; i++)
	{
		printf("%d번 동물 : ", (i + 1));
		gets(szArrAnimal[i]); // 한 행 전체를 의미 = 1차원 문자배열과 같다. 
	}

	for (i = 0; i < iArrLen; i++)
	{
		printf("%d번 동물은 %s입니다.\n", (i + 1), szArrAnimal[i]);
	}

}

 

반응형

 c언어 프로그래밍 기초문법 - 함수 

 

 

함수 (Function)

 

 

함수는 특정 행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기능을 말한다. 함수를 정의하지 않고 프로그래밍이 가능하지만 반복적인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유지보수 측면에서도 함수 사용이 용이하다. 코드 상에서 함수를 호출하는 순간, 코드가 함수의 수행문으로 ‘점프’한 뒤 수행문이 끝나면 ‘호출했던 위치’로 다시 돌아와 다음 코드를 수행한다.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이자 특징은 첫 번째로 높은 재사용성이다. 함수를 한 번 만들어 놓으면 언제든 호출해 사용할 수 있다. 두 번째, 중복된 코드의 제거가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을 구조화할 수 있다.

함수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다.

 

반환타입 함수이름(매개변수)
{
수행문
}

 

int Add(int iNum1, int iNum2)
{
	return (iNum1 + iNum2);
}

 

void PrintAdd(int iNum1, int iNum2)
{
	if (iNum1 == 0 && iNum2 == 0)
	{
		printf("둘 다 0이다.\n");
		return; //void일 때 그냥 return; 사용하면, 마치 반복문의 break;와 같은 효과 
	}
	printf("두 수의 합 : %d\n", (iNum1 + iNum2));
}

 

 

1) 매개변수

 

함수의 기능 수행을 위해, 함수가 호출 될 때 받을 값을 담는 변수다. 필요 여부에 따라 사용해도 되고 생략 또한 가능하다. 매개변수에 개수 제한은 없다.

매개변수는 ‘지역 변수’이기 때문에, 함수가 호출 됐을 때 생성되고 함수의 수행이 끝나면 자동으로 소멸한다.

 

 

 

2) 함수이름

 

이 함수가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는지 의미를 부여한다. 변수명을 정할 때처럼 함수 이름도 함수의 기능을 잘 드러내는 이름으로 짓는 것이 좋다. 다만, 변수명과 같이 C언어에 이미 정해진 내장 함수명과 겹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3) 반환 타입(Return Type)

 

함수의 기능 수행이 끝나고, 호출했던 위치로 돌려줄 값의 타입이다. 쉽게 말해 함수의 최종적으로 반환되는 출력이 어떤 타입인지 나타낸다. 반환할 값이 없다면 void라고 명시한다.

반환 타입이 void가 아니면 반드시 함수의 수행문 안에 'return'이 있어야 한다. return을 이용해 반환 타입과 일치하는 값을 반환해줘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반환 타입이 정수형(int) 면

'return 0;'처럼 정수를 반환해준다. 반환되는 값은 여러 개일 수 없다.

 

 

※ 반환 타입과 매개변수 유, 무에 따른 함수의 형태

1. 둘 다 있다.
2. 둘 다 없다.
3. 매개변수만 있다.
4. 반환타입(즉, 반환 값)만 있다.

 

※ 함수의 세 가지 상태

1. 선언 : 함수의 원형을 미리 알려주는 용도로 쓰인다. 뒤에 세미콜론(;)을 붙인다.
	> 함수의 원형 : ‘반환타입 함수명(매개변수);‘의 구조를 갖는다.
2. 정의 : 함수를 만든다. (수행문 작성)
3. 호출 : 함수를 사용한다. (매개변수가 있으면 함께 전달)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