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61번: 파도반 수열

문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삼각형이 나선 모양으로 놓여져 있다. 첫 삼각형은 정삼각형으로 변의 길이는 1이다. 그 다음에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정삼각형을 계속 추가한다. 나선에서 가장 긴 �

www.acmicpc.net

 

<내 코드>

n = int(input())
memo = [0 for _ in range(101)]

for i in range(0, 4):
    memo[i] = 1
for j in range(4, 6):
    memo[j] = 2

for _ in range(n):
    m = int(input())
    for k in range(6, m+1):  # 6 ~ m-1
        memo[k] = memo[k-1] + memo[k-5]

    print(memo[m])

 

피보나치 수열과 비슷한 맥락으로 규칙을 찾아 점화식을 세우면 간단하게 풀 수 있었다.

인덱스 0번 ~ 4번까지는 1과 2로 넣어주고 그 다음부터는 점화식을 통해 값을 구해나가는 구조였다. 인덱스 값을 0번째 부터 설정해서 뒤에서 조금 헷갈린거 말고는 크게 어렵지 않았다.

반응형

 

 

2748번: 피보나치 수 2

문제 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한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이다. 그 다음 2번째 부터는 바로 앞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된다. 이를 식으로 써보면 Fn = Fn-1 + Fn-2 (n>=2)��

www.acmicpc.net

 

<내 코드>

n = int(input())
memo = [0 for i in range(n+1)]
memo[1] = 1
for i in range(2, n+1):
    memo[i] = memo[i-1]+memo[i-2]

print(memo[-1])

처음에 재귀호출을 통해 풀었을 때, 예상대로 시간초과가 났다. 

Bottom-up은 바닥에서 올라오는 것, 즉, 작은 문제부터 시작해서 작은 문제를 점점 쌓아 큰 문제를 푸는 것이다. 첫 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문제와 두 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문제를 풀면 세 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문제를 풀 수 있다. 두 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문제와 세 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문제를 풀면 네 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문제를 풀 수 있다....이걸 반복하면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할 수 있다.

반응형

동적 계획법이란?

어떤 문제를 풀기 위해 그 문제를 더 작은 문제들로 나누고, 작은 문제들에서 구한 해를 어딘가에 저장한 다음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알고리즘 설계 기법이다. DP는 이름처럼 다이내믹한 프로그래밍이라는 거리가 멀다. 단순히 붙여진 이름일 뿐이라고 한다.

 

 

 

분할 정복 방식과 차이점

DP의 문제 접근 방식은 기본적으로 '분할 정복 알고리즘(Divide and Conquer)'과 비슷하다. 두 경우 모두 문제를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 문제의 답을 계산하고, 이 값을 이용해 원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다. DP와 분할 정복의 차이는 부분 문제로 나누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DP는 작은 문제들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며 (즉, 답이 바뀌지 않음) 반대로 동적 계획법은 작은 문제가 중복이 발생하지 않고 단순히 나누어 푸는 방법이다.

 

 

DP 문제의 해결 순서

  1. 큰 문제를 작은 문제로 나눈다.

  2. 재귀적인 구조를 활용할 수 있는 점화식을 만든다.

  3. 작은 문제의 도출 값을 메모하고, 큰 문제를 풀어나갈 때 작은 문제가 반복되면 메모한 값을 이용한다. (Memoization방식)

 

 

DP의 조건

  1. 작은 문제가 반복, 중복이 일어나는 경우

  2. 같은 문제의 값은 매번 같다.

 

여기서 반복적으로 중복이 일어난 부분이 있다. 원으로 표시한 부분만 아니라 F(4)와 F(3)을 구하기 위해 모두 F(2)를 계산해야한다. 이런 식으로 매번 다 계산을 하면 시간적으로 비효율적이다. 그래서 DP방식을 이용해 메모이제이션을 통해 값을 활용해서 문제를 해결하면 훨씬 빠른 계산이 가능해진다.

반응형

 

 

2805번: 나무 자르기

문제 상근이는 나무 M미터가 필요하다. 근처에 나무를 구입할 곳이 모두 망해버렸기 때문에, 정부에 벌목 허가를 요청했다. 정부는 상근이네 집 근처의 나무 한 줄에 대한 벌목 허가를 내주었고,

www.acmicpc.net

 

 

<내 코드>

 

def binarySearch(M, tree):
    start = 1
    end = max(tree)

    while start <= end:
        leng = 0
        mid = (start + end) // 2

        for i in tree:
            if i >= mid:
                leng += i - mid

        if leng >= M:
            start = mid + 1
        else:
            end = mid - 1

    return end


N, M = map(int, input().split())
tree = list(map(int, input().split()))

sortTree = sorted(tree)
print(binarySearch(M, sortTree))

이분 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푸는 문제다. 알고리즘만 알고 있으면 생각보다 간단한 문제였다. 같은 코드로 채점 했는데 pypy3는 588ms가 걸리고 python3는 2984ms 가 걸리면서 다소 큰 차이가 있었다. 

반응형

+ Recent posts